GMTC 70기(2월5일~6월5일)/자료
-
일본인 대상 기독교 인식 조사 설문지GMTC 70기(2월5일~6월5일)/자료 2025. 4. 3. 10:07
설문 목적:본 조사는 일본 내 일반 시민들의 기독교에 대한 이해, 이미지, 경험, 관심도 등을 파악하여 선교 전략 및 종교 간 대화의 방향성을 수립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.설문 대상:일본 거주 일반 성인응답 형식:객관식 (5점 척도, 다중 선택 등)주관식 (자유서술)1. 인구통계학적 정보문항 번호질문1-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? (남 / 여 / 기타 / 응답 거부)1-2귀하의 연령대는? (20세 미만 / 20대 / 30대 / 40대 / 50대 / 60대 이상)1-3거주 지역은 어디입니까? (도도부현 단위)1-4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? (무교 / 불교 / 신토 / 기독교 / 기타)1-5귀하의 교육 수준은 어떻게 되십니까? (중졸 / 고졸 / 대졸 / 대학원 졸 이상)2. 기독교에 대한 기본 인식문항 번..
-
『나와 너』 요약 – 마틴 부버 (Martin Buber)GMTC 70기(2월5일~6월5일)/자료 2025. 4. 3. 09:09
1. 실존주의 개관실존주의는 인간을 단순한 존재가 아닌 자기 존재를 인식하고 스스로 결정하는 존재로 바라봅니다. 전통적으로는 본질이 실존에 앞선다고 봤지만, 실존주의는 **“실존이 본질에 앞선다”**고 주장합니다.인간은 정해진 방식이 아닌, 스스로를 만들어 가는 존재입니다. 이는 현대인이 일상성과 소외 속에서 자기 자신을 회복해야 한다는 요구로 이어집니다. 2. 마틴 부버의 실존주의부버는 유신론적 실존주의자로, 실존의 본질을 **‘만남(Meeting)’과 ‘관계(Relation)’**에 두었습니다. 그는 인간이 진정한 ‘나’가 되기 위해서는 ‘너’와의 관계가 필수적이라고 봅니다.그의 대표작 『Ich und Du(나와 너)』는 인간 존재를 관계 속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핵심 사상을 담고 있습니다. 인간은 독..
-
한국인의 의식구조GMTC 70기(2월5일~6월5일)/자료 2025. 3. 21. 15:52
한국인의 의식구조✅ 1. 목적한국인의 의식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선교 현장에서 자신을 이해하고 균형 잡힌 사역이 가능하도록 돕기✅ 2. 접근 태도긍정적이면서도 객관적인 분석자민족 우월주의 또는 열등감 회피단순화/일반화 지양, 판단보다 이해 중심✅ 3. 주요 내용 요약📌 (1) 문화모형을 통한 분석 (Hofstede 이론 중심)권력거리: 한국은 높음 → 수직적 관계, 고맥락 문화집합주의: 개인보다 집단 우선, ‘정’과 ‘인연’ 중시성취 동기: 경쟁, 성공 중시 → 학벌 중심 사회불확실성 회피: 강함 → 명확한 기준 선호, 타인에 대한 수용도 낮음장기 지향성: 유교적 역동성 반영자제 문화: 도덕적 절제 강조 → 타문화 판단 가능성 있음📌 (2) 심리적 차원: 가족 확장성‘한 지붕’, ‘한 솥밥’ → 강한 우..